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위안부 참상 겪은 할머니들에게 "광복은 아직 오지 않았다"

해마다 8월 14일이 돌아온다. 하지만 어떤 날인지 그 의미를 정확히 아는 이는 많지 않다. 광복 46주년을 하루 앞뒀던 1991년 8월 14일. 26년 전 이날 한 여성의 용기 있는 고백으로 인해 수십 년간 드러나지 않았던 위안부 피해 실상이 세상에 최초로 폭로됐다. 고 김학순 할머니는 이날 자신이 일본군 성노예였음을 처음으로 공개하고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저질렀던 여성 인권 유린의 만행을 고발했다. 어둠 속에 묻혀 있던 진실은 김 할머니의 용기 있는 증언이 있었기에 공론화될 수 있었다. 증언 당시 67세였던 김 할머니는 10대 때 겪었던 위안부 참상을 말했다. 그는 “그동안 말하고 싶어도 용기가 없어 입을 열지 못했다”며 “언젠가는 밝혀질 역사적 사실이기에 털어놓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 할머니의 고백은 1990년 일본 정부가 위안부는 민간 업체의 소행이었지 일본군은 무관하다는 주장을 하자 이에 반박하기 위해 이뤄졌다. 그는 “당한 것도 너무나 치가 떨리는데 일본이 사실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너무 기가 막혀 증언대에 서게 됐다”고 말했다. 이렇게 오랫동안 계속됐던 침묵이 깨졌다. 김 할머니의 증언이 도화선이 돼 다른 피해자들도 피해 사실을 밝히며 일본의 사죄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위안부 문제는 한·일 간 외교 문제를 넘어 대표적인 여성인권 의제로 부상했다. 김 할머니의 용기는 미국에서도 꽃 피우고 있다. 최초 증언 후 16년이 지난 2007년 7월 30일 연방하원에서 위안부의 존재를 인정하고 이 문제에 대한 책임있는 행동을 일본정부에 요구하는 결의안이 통과됐다. 이를 계기로 미 전역에 위안부 기림비가 세워졌다. 2010년 10월 23일 뉴저지주 팰리세이즈파크 공립도서관 앞에 위안부 피해자 기림비가 설치됐다. 위안부 기림비로는 전 세계 최초로 설립된 것이다. 이후 캘리포니아주 가든그로브(2012년)와 뉴욕주 나소카운티(2012년), 뉴저지주 버겐카운티법원 앞(2013년)·유니온시티(2014년)·클립사이드파크(2017년), 버지니아주 페어팩스카운티청사(2014년) 등에 기림비가 세워졌다. 또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2013년), 미시간주 사우스필드 한인문화회관(2014년), 애틀랜타(2017년) 등 3곳에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져 위안부의 비극이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김학순 할머니가 지난 1997년 세상을 떠난 지 올해로 20년째다. 이제 위안부 생존자는 37명에 불과하다. 2014년 유니온시티 기림비 제막식에 참석한 이옥선 할머니는 “아직 우리에게 광복은 오지 않았다”고 외쳤다. 서한서 기자

2017-08-14

에네켄 독립열망 서린 멕시코 메리다시 중심 '대한민국 길' 생긴다

멕시코 한인 이민자들의 독립운동 후원 거점이었던 멕시코 남동부 최대 도시인 메리다 시에 '대한민국로'가 생긴다. 주멕시코 한국대사관은 13일 메리다 시내 중심대로인 7번가를 '대한민국로'(Avenida Republica de Corea)로 명명하기로 메리다 시청과 합의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지정에 필요한 메리다 시의 행정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대한민국로 명명식을 하기로 했다. 마우리시오 빌라 멕시코 유카탄주 메리다 시장은 이날 전비호 주멕시코 대사에게 메리다 한인후손회장과 한인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메리다시 중심대로인 알타브리사 지역 7번가를 대한민국로로 명명하기로 한 결정이 담긴 공식 서한을 전달했다. 대한민국로 지정은 추진 1년만에 결실을 보는 것이다. 양측은 지난해 8월 메리다 시내 번화가에 한국거리 조성사업을 추진하기로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이후 대사관은 내부적으로 명칭위원회를 구성해 교수와 역사학자 등 다양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뒤 지난 7월 중순 대한민국로라는 이름을 메리다 시청에 제의했다. 메리다시는 멕시코 동남부 유카탄 반도에 있는 유카탄 주의 주도이자 멕시코 남동부 최대도시로, 한인 이민자들의 애환과 독립열망이 깊이 서려 있는 곳이다. 1905년 일본 인력송출회사가 모집한 우리 동포 1033명이 메리다 지역 내 22개 에네켄(Henequen, 선박용 밧줄 원료를 만드는 선인장의 일종) 재배농장에서 일하려고 이민 온 것이 중남미 지역 최초의 이민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메리다 시와 주변 지역에 3~5세대 한인 후손 7000여 명이 거주 중이다. 인천광역시는 2007년 메리다시와 자매결연을 맺기도 했다. 전 대사는 "이번 대한민국로 지정이 한-멕 수교 55주년과 한인 이민 112주년을 맞아 결실을 보게 돼 감회가 더 크다"면서 "멕시코 한인이민자들이 추진해 온 독립활동의 역사적 의의를 재평가하고, 멕시코에 거주하는 한인 후손들과 동포들의 자긍심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1905년 노동이민으로 형성된 메리다 한인사회는 1909년 대한인국민회 메리다 지방회를 창립한 후 사관을 양성하는 기관인 숭무학교를 세웠다. 진성학교와 해동학교도 설립해 민족교육을 했다. 도산 안창호의 가르침에 감명받아 독립자금을 송금했고, 광복 후인 1946년에는 국가재건의연금을 보내기도 했다.

2017-08-13

전범 전원 무죄 의견, 인도 판사 칭송비 세운 일본

도쿄도 치요다(千代田)구 구단시타(九段下)의 빌딩 숲 한복판에 자리하고 있는 야스쿠니 신사(靖?神社). 야스쿠니 신사는 2019년 건립 150주년을 맞아 이 주변을 공원화하는 등 대규모 정비사업을 준비 중이다. 지난 11일 일본의 큰 명절인 오봉(お盆)연휴의 첫 날인 탓에 신사에는 평소보다 많은 참배객들로 북적거렸다. 조상의 위패가 모셔진 곳을 향해 절을 하며 복을 기원하는 모습은 일본의 여느 신사처럼 평화로운 모습이었다. 그러나 종전기념일(8월 15일)을 앞두고 신사 주변에는 경찰이 여럿 배치돼 있어 묘한 긴장감이 느껴졌다. 경내에는 "전단 배포, 집단 행동, 깃발을 흔드는 행위 등을 금지한다"는 경고문도 붙어 있었다. 신사 입구에는 근대 일본군의 창설자로 불리는 오무라 마스지로(大村益次?) 동상이 참배객들을 내려다보고 있었다. 본전(本殿)에는 246만6000여 명의 영혼이 합사돼 있다. 여기엔 전쟁에 희생된 군인, 군속뿐 아니라 태평양전쟁을 주도했던 도조 히데키(東條英機), 난징대학살의 주범 히로카 고키(?田弘毅등 A급 전범 14명의 위패도 함께 있다. 한국인도 2만1000명이 포함돼 있다. 강제로 전쟁에 동원됐던 이들이 죽어서도 A급 전범들과 영혼이 묶인 채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이다. 전쟁 무기.유품 10만 점 전시 야스쿠니 신사에는 현대식으로 지은 유리 건물도 있다. 유슈관(遊就館)으로 2005년 증축해 각종 전쟁 무기와 유품 약 10만 점을 전시하고 있는 전쟁박물관 격이다. 유슈관 1층에 들어서자마자 일본의 상징 '히노마루(일본 국기에 그려져있는 붉은 원)'가 선명하게 새겨진 전투기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태평양전쟁 말기 자살특공대 즉, 가미카제(神風)로 이용됐던 '제로센(0식 함상전투기)'이다. 일왕을 위해 목숨을 바친 자살특공대가 마치 나라를 구한 영웅처럼 미화되고 있다. 본 전시관에 들어서자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구미 제국의 아시아 침략을 막기 위한 결단"으로 포장하는 유물과 해설이 눈에 들어왔다. 하지만 이는 역사왜곡의 시작에 불과했다. 전쟁이 필요했던 이유를 미화하고, 일왕에 의해 동원됐던 군인들을 영웅시 하는 것을 전시관 곳곳에서 목격할 수 있었다. 그야말로 '침략의 역사'를 성전(聖戰)으로 둔갑시킨 거대한 전시장인 셈이다. '영상전시실'에 들어서자 온몸에 소름이 확 끼쳤다. 비장한 분위기의 군가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인 욱일기가 나부끼고 있었다. 영상 속에선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서 승승장구 했던 일본군의 업적이 묘사되고 있었다. 우에노 공원에 세웠던 개선문의 모형과 군인들의 정복도 자랑스럽게 전시돼 있었다. 왜곡의 대상은 한국도 예외가 될 수 없었다. '한일강제병합'을 마치 양국간에 평화롭게 체결된 평등조약인 것처럼 묘사했다. 강제 징용이나 식민 지배, 수탈의 역사에 대한 기술은 찾아볼 수 없었다. 민간인 3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난징학살'은 일본군의 치안유지를 위한 활동으로 묘사돼있었다. "당시 민간인 복장을 한 패잔병 등에 의해 무질서했던 난징시를 일본군이 포위하자 평화가 왔다"는 식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어디에도 민간인을 죽였다는 얘기는 없었다. 심지어 태평양전쟁 이후 아시아 각국의 독립에 대해서는 "일본군의 눈부신 승리 이후"였다고 주장하고 있었다. 전쟁이 아시아 해방을 위한 전쟁이었음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역사 왜곡은 전시관 후반부, 전후(戰後) 도쿄에서 열린 극동국제군사재판을 소개하는 부분에서 절정에 달했다. 도쿄재판에 참여한 11개국의 판사 중 유일하게 전범 전원에게 무죄 의견을 낸 인도의 라다 비노드 팔(Radha binod Pal) 판사의 발언을 크게 다뤘다. "도쿄재판은 야만적 복수" "'일본이 범죄를 저질렀다', '일본이 침략의 폭거를 했다'는 등의 비뚤어진 죄악관을 짊어지고 비굴, 퇴폐로 흐르는 것을 나는 그냥 보고 있을 수 없다. 잘못된 역사는 바뀌어 쓰여져야 한다" A급 전범을 신으로 모시고 있는 야스쿠니 신사와 그들을 칭송하는 유슈관의 의도가 이 두 문장으로 귀결되는 순간이었다. 이것도 모자라 유슈관 앞에는 그를 칭송하는 현창비도 설치돼 있었다. 비석에는 "도쿄재판이 연합국의 패전국 일본에 대한 야만적인 복수의식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간파하고…(중략) 당시의 팔의 판단은 바야흐로 문명 세계 국제법학계의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쓰여져 있었다. 팔 판사는 일제의 '대동아공영권'에 찬동해 인도 내에서도 친일파로 비난받은 인물이다. 나카자토 나리아키(中里成章) 도쿄대 교수는 저서에서 "1960년대 이후 전범과 전쟁지도자의 복권을 위해 일본 사회가 팔 판사의 존재를 신화화했다"고 평가했다. 야스쿠니 신사 어디에도 전쟁과 침략의 역사에 대해 반성과 참회의 흔적은 없었다. 오히려 이를 정당화함으로써 아직도 주변국 국민들에게 '제2의 가해'를 계속하고 있었다. 전시관을 둘러본 한 캐나다인은 "역사를 통해 실수를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는 걸 일본이 대체 알고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윤설영 도쿄 특파원

2017-08-13

독립운동가 '현순' 자서전 원본 찾았다

임시정부 계열 독립운동가 현순 선생의 영문 자서전 원본이 발견됐다. LA 다운타운 인근의 한 노인아파트에 거주하는 현순 선생의 친 조카 현초(83)씨는 자신이 현순 선생의 영문 자서전 원본을 소장하고 있다고 밝히고 이를 최근 LA중앙일보에 단독 공개했다. 영자타자기로 작성된 이 자서전은 104쪽 분량이며 20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서전 바로 뒤에는 7쪽 분량의 부록이 첨부됐다. 부록 목차는 자료를 신임장, 성명, 변호사 인증서, 대한독립 인정 공식 요청서, 연방 상하원 의원에게 보낸 편지, 독립운동 연설문 등 모두 6개 종류로 분류해 놓았으나 이 같은 자료 대신 한국의 독립운동과 한국의 개신교, 불교, 천도교, 비밀 결사체, 3.1만세독립운동에 대한 간략한 현황과 설명을 싣고 있다. 현초씨는 "이 자료가 얼마나 역사적인 가치가 있는지 잘 모르겠지만 역사 전문가나 국가 관련 기관에 전달되어 해외 한인 독립운동사 연구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희망을 밝혔다. 이와 관련해 이덕희 하와이 한인이민연구소 소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현순 선생의 경우 아들 데이비드 현을 통해 수 많은 자료를 남겼고 '현순자사'라는 자서전이 2003년 연세대출판부에서 책으로 출판됐다"고 밝히면서 "이번에 공개된 영문 자서전의 내용을 확인해봐야 정확한 사실이 밝혀지겠지만 현순자사의 또다른 원본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책 내용은 개인의 출생과 가족 내력을 중심으로 주요 역사적 사건과 자신의 행적을 시간대별로 적고 있다. 1903년 무렵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던 한인들의 생활상, 당시 노동자의 월급(16달러), 하와이 전체 한인 인구 규모(8000명 이상)를 알 수 있다. 기독교와 인연을 맺고 목사가 되는 과정이 적혀 있으며 상해 임시정부와 인연을 맺게 된 사연과 자주 접촉했던 인물도 대략 파악할 수 있다. 또 3.1만세운동 이후 미국에서 전국 각지의 한인들로부터 성금이 독립운동 단체에 쏟아졌고 여기에는 멕시코 거주 한인과 멕시코 거주 중국인, 쿠바 거주 한인도 참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순 선생이 당시 몸담았던 단체에서도 1921년 처음으로 상해임시정부에 500달러를 보냈다고 적혀 있다. 현순 선생은 3.1만세독립운동 계획에 참여했고, 임시정부에서는 외무차장 및 외무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이후 주로 하와이에서 거주했으며 은퇴 후 말년을 LA에서 보내다 1968년 7월 세상을 떠났다. 자녀 가운데 유명한 인물로는 LA 리틀 도쿄를 설계 건축한 세계적인 건축가 데이비드 현(2012년 5월 사망)과 연극배우 겸 감독, 작가로 활동한 피터 현이 있으며 맏딸 앨리스 현은 한국판 마타하리로 불리는 파란만장한 생을 살다 1956년 평양에서 처형당하는 비극적인 삶을 살았다. 한국 정부는 현순 선생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했다. 김병일 기자 [email protected]

2017-08-1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